사람은 왜 늙을까?
'생로병사(生老病死)'는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숙명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항노화의학을 접하게 되면 미래에는 의과학의 발전으로 '생사(生死)'만 있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이 글은 노화 원인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항노화의학(=노화방지의학)은 노화를 자연현상이 아닌 질병으로 분류하여 치료 연구하는 분야이다. 노화 원인을 안다는 것은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또는 역전시킬 수도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럼 사람이 늙는 그 이유가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자.
노화의 원인 목차
- 텔로미어 길의 단축
- 노화호르몬 분비 감소
- 줄기세포의 감소
텔로미어 길이의 단축
텔로미어(telomere)란 염색체 끝에 붙어있는 단백질 구조의 복합체이다. 세포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DNA 염기서열의 정보를 전달하고,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텔로미어가 없으면 세포는 복제 기능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텔로미어는 세포가 복제 과정을 거칠 때마다 길이가 조금씩 줄어드는데, 텔로미어의 길이가 줄어든다는 것은 세포의 수명이 줄어든다는 의미이고, 세포의 수명이 줄어든다는 것은 바라 사람이 늙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텔로미어의 길이 감소는 노화 원인의 대전제라고 볼 수 있다. 길이 감소를 지연시키나 늘릴 수 있다면 사람이 늙지 않거나 젊어질 수도 있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어떠한 요소들이 텔로미어의 길이를 빠르게 줄어들게 하는지, 늘리게 할 수 있는지를 알면 사람이 노화를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텔로미어를 정복할 수 있다면, 사람이 노화를 정복한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그럼 텔로미어의 길이를 빠르게 줄이는 요인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생활습관
세포학적으로 선천적으로 인간의 수명은 120세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잘못된 식습관, 운동습관 등의 생활습관이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된 요인이라 알려져 있다. 즉, 올바르지 않은 생활습관이 노화의 진행속도를 촉진시킨다는 것이고, 텔로미어의 길이단축을 더 빠르게 가져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활성산소
체내 활성산소는 호르몬을 합성에 필요한 물질이기도 하나, 불필요하게 많이 발행한 활성산소는 정상세포를 공격하여 세포의 수명을 단축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활성산소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자외선이나 격렬한 운동,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의 원인으로 다량의 활성산소가 발생하여 노화 촉진의 원인이 된다.
NAD+ 감소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의 약자인 NAD의 산화형태인 NAD+는 세포에너지 생산과 복구 및 방어 과정을 지원하는 세포에 필요한 중요한 효소이다. 보통 50세가 되면 NAD+ 농도가 젊은 시절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고, 80세가 되면 불과 10% 미만으로 감소하며 노화의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NAD+를 세포막 안에서 활동을 하기 때문에 텔로미어 연장의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은 확인이 되었지만, 어떻게 세포막 안에 NAD+를 도달시킬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다.
노화호르몬 분비의 감소
이전 글에서 노화호르몬의 분석을 통해 항노화진료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세포가 성장하고 쇠퇴하는 과정을 겪는다. 그 과정 중에 노화호르몬의 감소는 노화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줄고, 지방량이 늘어나는 이유는 운동량의 변화가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성호르몬과 성장호르몬의 감소가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한 운동량을 가지고 있던 젊었을 때와 다르게 나이가 들면 같은 양의 음식과 활동을 하여도 지방량이 늘고 근육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 외에도 수면의 질도 젊었을 때와 비교하면 나빠지게 되는데 수면호르몬과 스트레스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호르몬의 감소가 노화의 주 원인이 되고, 호르몬조절 요법을 통해 젊었을 때 신체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줄기세포의 감소
줄기세포는 손상세포를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어떠한 세포로도 변화할 수 있어 만능세포라고도 불리우는데 평소 체내 여기저기 수면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세포가 손상을 받으면 활성상태로 변하며 세포를 복구하는 역할을 한다. 스스로도 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세포이기도 하다. 나이가 들면서 몸의 회복속도가 늦어지는 이유도 줄기세포의 감소 때문인데, 이것 또한 역시 노화의 주 원인 중 하나이다.
항노화의학의 과제
지금까지 살펴본 것 처럼 항노화의학의 연구과 분석을 통해 노화의 원인이 이미 다 밝혀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그 원인을 없애거나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풀리지 않은 숙제가 많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발전을 통해 생사만 있는 인간이 삶이 도래할 수 있는 날도 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항노화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텔로미어(telomere)와 질병의 영향 (0) | 2023.04.03 |
---|---|
스위스 크리니크 라프레리(Clinique La Prairie) 웰니스 프로그램 (0) | 2023.04.02 |
줄기세포의 종류와 특징, 노화방지의학 적용 사례 (0) | 2023.04.02 |
항노화의학(Anti-aging medicine) 이란 무엇인가?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