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노화 의학 정의
사람을 늙는 것은 자연현상일까? 아니면 질병일까? 항노화의학이란 노화를 자연현상으로 접근하지 않고, 의과학적으로 치료가능한 질병으로 접근하는 학문이다. 노화의 원인이 되는 장애, 질환을 사전에 발견하여 예방 및 치료를 바탕으로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지연을 뛰어넘어 역전시키는 수준에까지 도달했다. 국내에는 '노화방지의학'으로 부르기도 한다.
1990년 미국에서 장수의학(longevity medicine)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의학분야로 미국 A4M(American Academy of Anti Aging Medicine) 항노화협회의 회원 규모 26,000명 이상으로 이미 미국 내과학회의 규모를 넘어섰다. 국내에는 그 실효성에 대한 부정적인 논문들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의학적 진단기술의 발달로 치료 전후 임상데이터의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한 수준에 도달하였기에 이제는 허무맹랑(虛無孟浪)한 학문분야는 아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항노화전문의 제도를 실시하는 곳도 있으며 이미 밝혀진 노화의 원인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다양한 치료임상결과를 확보하고 있다.
실례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항노화 치료는 텔로미어의 길이를 늘이는 결과들이 있으며, 노화와 관련된 호르몬조절 요법으로 지방감소와 근육량 증가라는 젊은 신체상태의 효과를 입증하는 임상데이터는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항노화 의학의 목적
항노화의학의 목적은 오래 사는 것에 국한하지 않는다. 병원에 누워 생을 이어가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보고, 사는 동안 건강하게 사는 것을 더 큰 목적으로 한다. 세포학적으로 인간의 수명은 120년이라고 본다. 즉, 120여 년 동안 노화의 진행이 없이 건강한 삶을 유지시키는 것이 항노화 의학의 목적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래 사는 것보다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항노화 의학이 노화 치료과정
노화를 진단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형으로 항노화 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A4M에서 추구하는 방향이다. 즉, 단순히 추측성 치료가 아닌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원인에 따른 해결법을 가진 치료를 진행한다. 따라서 항노화 치료는 노화검사를 통한 전문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료가 이루어진다.
항노화 검사
항노화검사에는 우선 질병유무를 알아보는 건강검진이 기본으로 있고, 그 외 노화의 진행속도와 상태를 분석하는 검사들이 있다. 예를 들면 텔로미어 길이측정, 노화호르몬 검사, 활성상소 및 항산화 측정, 면역력 검사, 유전자 검사 등등이다.
항노화 분석
항노화 검사에서 이루어진 검사들을 통해 분석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1) 텔로미어 길이 분석
텔로미어 길이 측정을 통해 기대수명을 예측할 수 있고, 노화의 진행속도를 알아볼 수 있다. 또한 항노화 치료를 하면서 길이가 늘어나는지의 여부를 파악해 볼 수도 있다.
(2) 노화호르몬 분석
질병에 걸려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당뇨이다. 당뇨환자들은 인슐린 분비가 되지 않기에 문제가 생긴다. 하지만, 노화호르몬은 노화진행에 맞춰 분비가 줄어드는 것이 특징인데, 5가지 정도가 있다. 성호르몬, 수면호르몬, 스트레스호르몬, DHEA 등이다. 이러한 노화호르몬을 분석하여 적절한 처방을 하여 진료가 이루어진다.
(3) 생활습관, 운동습관 분석
검사를 통한 데이터만 가지고 진행하지 않고, 환자의 생활습관도 면밀히 분석한다. 사실, 생활습관에서 오는 고혈압, 당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협심증 등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생활습관 지도개선도 항노화 의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항노화 치료
검사와 분석이 끝나면 전문이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검사결과를 토대로 질병 가능성을 예측, 노화상태와 노화를 촉진하는 원인을 규명하여 처방이 이루어진다. 노화 치료법의 종류에는 호르몬조절, 식생활 및 운동요법 조절, 항산화제 처방, 세포치료(줄기세로, 면역세포) 등 매우 다양한다. 국내에는 전문적으로 항노화 치료를 하는 곳이 많지는 않으나 2000년 미국 세너제닉스(Cenegenics) 치료를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한 (現)썬플라워의원 최수경 원장이 제일 권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노화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텔로미어(telomere)와 질병의 영향 (0) | 2023.04.03 |
---|---|
스위스 크리니크 라프레리(Clinique La Prairie) 웰니스 프로그램 (0) | 2023.04.02 |
줄기세포의 종류와 특징, 노화방지의학 적용 사례 (0) | 2023.04.02 |
항노화의학 노화 원인의 종류, 사람은 왜 늙을까? (0) | 2023.04.02 |
댓글